한국문화·한국사회

공자의 부활과 한국사회

雄河 2015. 12. 23. 10:15

공자의 부활과 한국사회

 

공자와 유교, 한국사 속의 자취

 

 

21세기 벽두, 동아시아 문명권의 화두는 공자의 부활이다. 1919년 5·4운동과 1960년대 문화혁명 시절, 타도의 대상이었던 공자점(孔子店)을 불과 30여 년 만에 21세기 동아시아 문명의 아이콘으로 재해석하고 있는 중국을 우리는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 지난 한국인의 역사 속에 나타났던 공자와 유교의 양상들을 살펴봄으로써 해답의 계기를 모색하고자 한다. 오늘날 한국 유교의 연원에 대해서 서로 대립하는 견해들이 있다. 하나는 공자 이전에 유교를 형성한 배경으로서의 상고대 사상, 소위 하·은·주 삼대를 계승한 원시 사상이 이미 우리 민족에게 존재했다는 주장이다. 곧 유교사상의 원시적 형태가 우리 민족의 뿌리인 동이족(東夷族)으로부터 발원한다는 류승국의 주장과 기자 동래설에 근거해서 “(중국이 아닌) 조선이 유교의 조종(祖宗)”이라고 주장하는 장지연의 설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병도는 기자 동래설을 부정하고 중국 진한(秦漢) 시기의 유교가 한사군(漢四郡)을 통해 전래되었다고 했고, 이기백은 한국 유교의 기원을 주체적 수용의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고 하며 삼국시대에 율령을 반포하고 태학을 설립한 것이 그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유교가 한국 역사에서 실질적으로 기능한 것은 삼국시대로서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고구려 소수림왕 2년(기원 후 372년)에 태학이 설립되고 율령이 반포되었다는 것은 고구려가 유교의 수용을 통해 고대국가의 체제를 갖추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신라 유교는 김유신과 같은 화랑들이 “도의(道義)로 서로 연마하였다”거나, 진흥왕 순수비에서 발견되는 “나 자신을 닦음으로써 백성을 편안하게 한다”(修己以安百姓)는 논어의 구절에서 그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백제의 경우 우리는 왕인 박사가 논어와 천자문을 일본에 전했다는 기록을 통해서 발전된 문명으로서의 유교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이로써 보면, 삼국시대의 유교는 발전된 문명 체계, 곧 고대 국가의 정치제도와 지배계층의 윤리의식 또는 의리(義理)와 도의(道義)라는 자기 수양, 또는 공동체의 리더십으로서 기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시기 유교의 또 다른 특징은 다른 종교인 불교와 선도(仙道)와 공존하였다는 것이다. 신라의 세속오계를 통해서 보면, 유교와 불교 및 선도 등 당시의 사상들이 종파적으로 대립하기보다는 공존하였던 것이다. 최치원이 난랑비서(鸞郞碑序)에서 “들어가서는 가정에서 효도하고, 나가서는 국가에 충성하는 것이 공자의 뜻”이라고 서술하였듯이, 당시의 공자는 충효(忠孝)라는 윤리의식의 상징적 존재였다. 한국의 고대 유교는 고려시대 무신의 난을 기점으로 붕괴된다. 이념화, 형이상학화된 주자학이 고려 말에 수용되고, 조선조에 예학(禮學)의 일반화가 시도된 것은 바로 고려말 유교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노력이었다.

유교가 단순히 윤리적·정치적 기능을 벗어나 종교적·교파적 의미로 인식되기 시작한 것은 중국 송대에 형성된 정주학(程朱學), 곧 도학(道學)의 수용과 관련되어 있다. 도학이란 주자에 이르러 완성된 일종의 이념운동으로서 이전의 유교와는 판연히 다른 도통(道統) 의식과 유교에서 궁극적 진리를 발견할 수 있다는 배타성을 특징으로 한다.

경북 안동의 도산서원은 영남학파의 중심지이자 한국 유교의 대표적 명소 중 하나다. [중앙포토]

도학의 종파의식은 단지 종교적 신념이라기보다는 사회적 위기의식에서 비롯되었다. 주자는 금(金)나라의 침입으로 북송이 멸망하고 이어 원(元)제국이 남송마저 병탄한 불안한 시기에 생존하였다. 그는 국가적 위기를 극복할 인재들을 양성할 이념과 사상을 새로운 유교 곧 성리학에서 찾았다. 주자를 비롯한 성리학자들의 집단은 강한 사회적 책임의식과 도덕의식으로 무장하여, 주자 당시에도 정치적 탄압을 받았던 일종의 결사(結社)였다.

조선의 사림(士林)들은, 주자학의 결사로서의 성격을 수용하고, 종교와 윤리가 통합된 가장 이상적인 유교 공동체인 조선을 건국하였다. 따라서 유교는 윤리적 상징인 공자보다 이념성이 강한 주자 중심으로 구축되었다. 조선 전기 성리학의 사상적 특성은 조광조의 지치(至治)주의와 퇴계·율곡의 성학(聖學)에서 발견된다. 그것은 심성(心性)의 자아수양(self-cultivation)을 통해서 성인(聖人)을 이루고, 우주의 궁극적 진리를 도덕정치, 또는 철인(哲人)정치를 통해 실현한다는 것이었다.

16세기 퇴계학파와 율곡학파의 사단칠정논변 등을 통해서 인간의 도덕의식에 대한 심화된 철학적 탐색이 진행되었으나, 17세기 후반부터는 정치적 요인으로 인해 당쟁과 주자학의 교조화가 이루어지면서 문제가 노정되었다. 송시열에 의해 주도된 화이론(華夷論)과 춘추대의론은 중화와 오랑캐를 엄밀하게 구분함으로써 당시 청나라의 침략에 대한 복수와 사회정치적 기강의 강화를 목표로 하였으나 결국 공허한 관념적 정쟁으로 전락하였던 것이다. 18세기 탈주자학의 등장은 바로 이러한 배경에서 이루어졌다.

그리고 19세기 후반 일제의 침탈로 인한 조선의 정치적 불안과 국권의 상실은 유교에 대한 극단적 양상을 드러낸다. 하나는 유교의 부정으로 이어진 개화사상의 등장이요, 다른 하나는 유교를 더욱 이념화하고 실천화한 척사위정(斥邪衛正) 운동 및 공교(孔敎) 운동 곧 유교의 종교화 운동이 그것이다. 그러나 유교의 교조화와 근대화의 전제조건인 민주화와 과학화의 결여는 유교의 종교화를 공허한 구호로 만들었다.

오늘날 우리에게 유교가 고취한 도덕적 인격과 가족 공동체의 정서가 필요한 것은 분명한 사실인 것 같다. 유교의 가치는 오히려 서양의 지식인들로부터 주목 받는다. 유교의 강한 도덕적 신념과 만물일체의 자연관은 현대의 생태철학에 깊은 인상을 남기고 있다. 그리고 유교는 자본주의의 소외된 인간을 치유할 수 있는 철학으로 해석되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유교가 이념이나 종교를 초월한 세계의 보편윤리를 구축할 토대로서 주목 받기를 기대한다. 유교가 단지 전통문화의 아이콘으로 혹은 중국이 동아시아 문명의 종주를 회복하기 위한 도구로 전락하기 전에 말이다.//

 

최일범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 교수

    

2010/03/22 13:36